P가 극점
함수 f가 초곡면(n공간에서 미분 가능한 등위면) g로 제한됨
S:={X∈U|g(X)=c}
gradg(P)=0 인 경우는 당연히 gradf(P)와 일차종속( λ1gradf(P)+λ2gradg(P)=0 )
아닌 경우,
점 P에서 S의 접평면의 임의의 벡터 v는, S에 포함되는 곡선 X(t)중에서
X(0)=P,X′(0)=v
로 주어진다. 그러면 h(t):=f(X(t))도 t=0일 때 극값을 가진다. 따라서
0=h′(0)=gradf(P)⋅X′(0)
gradg(P)도 등위면 S에 수직이므로 gradf(P)와 gradg(P)는 나란하다.
t는 임의로 잡은 값이므로 어떤 값이어도 무관하다.
댓글 없음:
댓글 쓰기